알아두기 일상

2024년 설 민생안정대책 총~~ 정리 3. 온누리상품권 할인 및 구매방법!!

별별다방 2024. 1. 31. 15:49

민생안정 대책 3번째. 온누리 상품권의 반란!

온누리 상품권 할인 및 구매방법 안내

설이 다가오면서 마트와 시장에서 사야할 품폭들이 많아진다. 많아질수록 돈은 많이 들고... 내 통장은 다시 텅텅비고 텅장이 되어간다. (눈에 습기가... 하....통장에 사라지는 숫자를 잡을 수가 없다. )

그래서 정부에서 설 준비 부담을 조금은 덜기위해 온누리 상품권 할인과 구매한도 상향을 진행한다. 

온누리 상품권은 전통시장과 골목상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종이로 구입할수도 있고 모바일 상품권으로 구매할수도 있다. 
만약 마트가 아니라 전통시장을 가는 빈도가 높다면 일단 5~10%는 깎고 들어가는 거닷! 후후후후 
(내 주식계좌 수익율 < 전통시장 할인율... ) 할말 많... 



1. 온누리 상품권 한도 상향

 1월 20일부터 한도가 상향된다. 이전에는 대부분 명절기간에만 한도가 상향되었지만 24년도부터는 1.20~12월 말까지 온누리 상품권 구매한도가 지속적으로 50만원 상향된다. (중소벤처기업부 발표함)

원래 전동시장상품권은 100만원까지만 구매가 가능했지만
온누리 종이 상품권은 150만원까지
- 모바일 상풍권 / 충전식 카드 상품권은 200만원까지 구입할수 있다. 

심지어 상품권을 구매할때 할인까지 해준다. 
- 온누리 종이 상품권은 5% 할인해서 구매 가능하고
- 모바일 충전식 카드형은 10% 할인해서 구매가 가능하다. 

최대 금액을 구매했을때 
- 온누리 종이 상품권은 150만원 - 5%할인 (75000원) 해서 1,425,000원에 구입할 수 있고,
- 모바일 상풍권 / 충전식 카드 상품권은 200만원 - 10%할인(200,000) 해서 1,800,000원에 구매할수 있다. 

  온누리 종이 상품권 온누리 모바일 / 카드 상품권
구매한도 150만원 200만원
할인율 5% 10%
최대 구매 금액 시 지불 금액 150만원 -75,000(5%할인) = 1,425,000원  200만원 - 200,000(10%할인)=180만원


 전통시장 골목형 상점도 지정요건이 자율화되고, 가맹 제한도 해제되면서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점포도 늘어난다.  20만개 점포에서 25만개 점포까지 늘어날 예정이라고 하니,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점포가 왕창 늘어나는 셈이다. 

아무래도, 상품권을 넉넉히 사두면 아주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것 같다. 

(유효기간도 5년이나 되니까 지금처럼 많이 싸게 팔때 사두자. )

심지어 이번 설 명절때는 민생 안정대책 1편에 써놨듯이  전통시장 현장 환급 행사 (구매금액의 30% = > 2만원 한도를 돌려주는 온누리 상품권 환급행사)도 함께 진행되고 있으니까, 모든 걸 잘 활용한다면 그 누구보다!! 저렴하게 전통시장을 이용할 수 있다.!! ㅎㅎㅎㅎ


내 텅장이여~ 환호하라~~!! 



그렇다면 상품권을 어디서 사야하는가?

상품권을 구매할수 잇는 곳은 아래 그림을 참고해 보자.

온누리 상품권 구매처
온누리 상품권 구매처 (출처 : 전통시장 통통)



종이상품권은 16개 은행에서 구입이 가능한데 구입시 현금으로만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문시 현금을 꼬~옥 찾아서 가지고 가자.( 카드로 산다고 떼쓰면 ... 안된다. )

 

이때 현금으로 5%할인금액을 빼고 나머지를 현금으로 내면 된다.
(참, 은행마다 보유하고 있는 상품권 액수가 다르거나, 재고가 없을 수도 있으니 방문전에 전화한통 하고 가자)

충전카드형은 카드를 새로 발급할 필요없이 버스카드처럼 내가 사용하던 카드를 앱에 등록해 사용하는 거다. 우리 나태주 오빠가 광고하는 온누리카드~~ ^^ (멋있으면 다 오빠다.)

핸드폰 플레이스토어에서 온누리 상품권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아이콘이 나온다. 

온누리 상품권 구매가능한 앱
온누리 앱

 

이 앱을 설치하고, 열면 자세한 항목들을 볼 수 있다. 

온누리앱 화면 창
온누리앱 화면 창

 

메인창에서 내 카드나 계좌를 등록할 수 있고, 보유한 금액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찾기를 이용하면 내 근처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들이 한방에 보인다.

(우리나라 인터넷의 발전! 감사합니다~~~ ^^)

 

종이형은 직원들에게 설 선물로 나눠주기 참 좋고, 카드형은 내가 늘상 지니고 다니는 카드니까 잃어버릴 염려가 적어서 우리집 장보기 카드로 사용하기 차~암 좋다. 

이제 온누리 상품권을 구매했다면, 당당하게 두둑한 배짱으로 전통시장을 방문하면 된다. 
머릿속에 난 만수르다! 라는 느낌을 느끼며~ 

온누리 상품권은 전통시장에서 장보는것 뿐만 아니라 시장 안에 있는 마트나, 식당, 옷가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 되는건 아니다)


온누리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상점은 가맹점을 나타내는  푯말이 붙어 있으니 사용전에 확인하자.

푯말이나 스티커는 이 모양으로 생겼으니, 전통시장 출발전에 이미지를 눈에 꼭 기억하자.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스티커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 스티커, 푯말 (출처 : 전통시장 통통)


사실 간혹, 가맹점 스티커를 안붙인 곳도 있기도 하니 스티커나 푯말이 없다면, 사장님한테 물어보는게 빠르다.  모르면 뭐... 물어보는 거지. 
 
그럼, 오늘은 두둑하게 전통시장이나 가볼까? 
살 물건이... 닭강정, 호떡, 김말이, 유과, 떡볶이, 순대... 또..... 아! 족발!!! 후후후후. 오늘 저녁은 완벽해!! 


전통시장 이용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소상공인 마당의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를 방문해 보면 좋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면 방문 가능하다. ▼ ▼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 (출처 : 전통시장 통통)



*** 잠깐 ****
전통시장에서 사용한 금액은 연말정산할때 40% 소득공제가 적용된다. (대 to the 박!!)

200만원을 사서 200만원을 다 쓰면 이중에 40%인 80만원을 내 소득에서 공제해준다는 이야기다.

 

할인해서 사고 - 살때 환급 이벤트로 돌려받고 - 25년 연말정산때 사용금액의 40%는 소득에서 빼준단다!!
와~~ 잊지 말자, 이런거 잘 챙겨놔야 세금 토해내지 않고, 돌려받을 수 있다. 

 

***

참참~ 설 연휴동안은 전통시장 (전국 400여개) 주변도로에 2시간 내 주차를 허용한다고 합니다. 홍홍~ ^^